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4년 4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예선은 예비 플레이오프, 최종 예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51개 팀이 참가했다. 최종 예선에서는 28개 팀이 7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가나, 알제리, 튀니지 등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개최국 변경, 선수 자격 논란 등의 이슈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차 예선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차 예선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1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2014년 5월에 진행되었다.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예선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예선은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8개 팀이 4팀씩 7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러 각 조 1, 2위 팀과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1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대회이다.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차 예선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차 예선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1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2014년 5월에 진행되었다.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예선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예선은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8개 팀이 4팀씩 7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러 각 조 1, 2위 팀과 조 3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1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대회이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53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국가 중 45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1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
기간 | 2014년 4월 12일 – 2014년 11월 19일 |
참가 팀 수 | 51개 팀 |
대륙 연맹 | 1 |
경기 수 | 125 |
총 득점 | 268 |
최다 득점자 | 조나탕 피트로이파( 부르키나파소) (6골) |
이전 대회 | 2013 |
다음 대회 | 2017 |
대회 정보 | |
개최 거부 | 모로코는 2015년 1월 17일부터 2월 8일까지 오렌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를 거부함. |
대체 개최국 | 적도 기니가 오렌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5의 개최국으로 지정됨. |
2. 진행 방식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예비 플레이오프와 최종 예선으로 진행되었다.
예비 플레이오프는 최종 예선에 참가할 팀의 수를 28개로 맞추기 위해 시드 순위가 가장 높은 21개 팀을 제외한 팀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은 조별 예선 형식으로, 28개 팀이 4개 조씩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은 본선에 직행했고, 각 조 3위 팀끼리 전적을 비교하여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1개 팀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14년 4월 27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렸다. (2014년 2월 21일 카이로에서 열린 예비 라운드는 제외)[8] 지부티와 소말리아를 제외한 총 51개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9][10]
CAF 랭킹 상위 21개 팀은 자동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나머지 7개 팀은 예선 라운드 종료 후 결정되었다. 랭킹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가중치 3) 및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가중치 2) 및 예선 (가중치 0.5),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팀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점수가 같을 경우, 동점자 처리 기준은 최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결과로 결정되었다.[11]
예선 참가 51개 팀의 랭킹은 다음과 같다.[11][13][14]
조별 리그 진출 | 예선 라운드 참가 | |
---|---|---|
1차 라운드 참가 | 예비 라운드 참가 | |
2. 1. 예비 예선
시드 순위가 가장 낮은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2개 팀을 선발했다. 에리트레아의 기권으로 남수단이 부전승으로 1차 예선에 진출했다.[9][10]- 에리트레아는 기권하였다.
2. 2. 1차 예선
1차 예선에서는 랭킹이 가장 낮은 팀들이 예비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팀의 수를 28개로 맞추었다.1차 예선 대진표는 2014년 2월 21일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추첨되었다. 양 팀이 동률일 경우 원정 다득점이 적용되며, 원정 다득점에서도 동률을 이룰 경우에는 연장전을 생략하고 즉시 승부차기가 실시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3-0 | 1-0 | 2-0 | ||
부전승 | 없음 | 없음 | ||
1-2 | 1-0 | 0-2 | ||
2-1 | 1-0 | 1-1 | ||
2-2 (a) | 2-1 | 0-1 | ||
부전승 | 1-0 | 0-3 | ||
1-3 | 1-0 | 0-3 | ||
0-3 | 0-0 | 0-3 | ||
0-1 | 0-0 | 0-1 | ||
1-3 | 0-0 | 1-3 | ||
1-2 | 1-1 | 0-1 | ||
부전승 | 없음 | 없음 | ||
0-4 | 0-2 | 0-2 | ||
3-3 (a) | 2-0 | 1-3 | ||
3-2 | 1-0 | 2-2 | ||
5-0 | 5-0 | 0-0 |
- 에리트레아는 기권하였다.
- 감비아는 2015년 아프리카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연령을 조작한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9]
- 적도 기니는 모리타니와의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10] 그러나 모로코가 대회 개최를 포기하여 실격 처리되자 적도 기니는 모로코를 대신하여 대회를 개최하게 되면서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2. 3. 2차 예선
2차 예선에서는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경기의 승자는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라이베리아 | 1-2 | 레소토 | 1-0 | 0-2 |
케냐 | 2-1 | 코모로 | 1-0 | 1-1 |
마다가스카르 | 2-2 (a) | 우간다 | 2-1 | 0-1 |
모리타니 | 부전승 | 적도 기니 | 1-0 | 0-3 |
나미비아 | 1-3 | 콩고 공화국 | 1-0 | 0-3 |
리비아 | 0-3 | 르완다 | 0-0 | 0-3 |
부룬디 | 0-1 | 보츠와나 | 0-0 | 0-1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3 | 기니비사우 | 0-0 | 1-3 |
에스와티니 | 1-2 | 시에라리온 | 1-1 | 0-1 |
감비아 | 부전승 | 세이셸 | 없음 | 없음 |
상투메 프린시페 | 0-4 | 베냉 | 0-2 | 0-2 |
말라위 | 3-3 (a) | 차드 | 2-0 | 1-3 |
탄자니아 | 3-2 | 짐바브웨 | 1-0 | 2-2 |
모잠비크 | 5-0 | 남수단 | 5-0 | 0-0 |
- 감비아는 2015년 아프리카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연령을 조작한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9]
- 적도 기니는 모리타니와의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10] 그러나 모로코가 대회 개최를 포기하여 실격 처리되자 적도 기니는 모로코를 대신하여 대회를 개최하게 되면서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 르완다는 콩고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11]
- 세이셸은 시에라리온과의 2차전이 치러지기 전에 기권하였다.[12]
2. 4. 최종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7개 팀과 시드 순위 상위 21개 팀, 총 28개 팀이 4개 팀씩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1위와 2위 팀, 그리고 각 조 3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11]시에라리온과의 2차전이 치러지기 전에 세이셸이 기권하였다.[53]
콩고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르완다가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51]
예선 조 추첨은 2013년 3월 10일 모로코에서 열린 CAF 총회에서 열릴 예정이었다.[34] 하지만 CAF 집행위원회는 2013년 3월 8일, 예선 조 추첨을 201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에 맞춰 2014년 1월 3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35] 그러나 2014년 1월 28일, 조 추첨 날짜가 다시 한 번 변경되었다. 예선 조 추첨은 2014년 4월 27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렸다.[50]
지부티와 소말리아를 제외한 총 51개 팀이 예선 경기에 참가했다.[36][37] 2014년 1월 24일 열린 CAF 집행위원회 회의 후, 예선은 여러 예선 라운드 형식으로 진행되며, 각 4개 팀으로 구성된 7개 조의 조별 리그도 진행하기로 결정되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은 결선에 직행하고, 7개 조 중 최고의 3위 팀도 결선에 진출한다.[38] 이것은 예비 라운드와 4개 팀으로 구성된 12개 조의 조별 리그로 구성된 원래 제안과는 달랐다.[39]
CAF 랭킹 상위 21개 팀은 자동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조별 리그에서 나머지 7개 팀은 예선 라운드 종료 후 결정된다. 랭킹은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선 (가중치 3) 및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선 (가중치 2) 및 예선 (가중치 0.5),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선,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팀의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점수가 같을 경우, 동점자 처리 기준은 최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결과로 결정된다.[38]
다음은 예선 경기에 참가한 51개 팀의 랭킹이다:[38][40]
조별 리그 진출 | 예선 라운드 참가 | |
---|---|---|
1차 라운드 참가 | 예비 라운드 참가 |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참가 팀은 시드 점수에 따라 배정되었다.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13년, 2012년, 2010년)와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부여되었다.[59] 시드 점수가 같을 경우, 최근 대회 성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이마저도 동률일 경우에는 공동 순위로 처리한다.
3. 참가 팀 및 시드
참가 예정인 51개 팀(개최국 모로코 제외) 중 상위 21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팀들은 예비 플레이오프를 거쳐 2차 예선 진출 팀을 가린다. 남수단은 FIFA 및 CAF의 신규 회원국 자격으로 이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지부티와 소말리아는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다.
말라위는 2014년 3월 11일 자금 부족을 이유로 기권을 선언하였으나, 말라위 축구 협회는 이를 부인했다.[59]
3. 1. 최종 예선 직행 팀 (상위 21개 팀)
다음은 시드 점수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직행한 상위 21개 팀 목록이다.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와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결과를 기준으로 부여되었다.[59] 시드 점수가 같을 경우, 최근 대회 성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이마저도 동률일 경우에는 공동 순위로 처리한다.
팀 | 시드 점수 |
---|---|
나이지리아 | 39.5점 |
가나 | 38점 |
코트디부아르 | 36점 |
잠비아 | 33점 |
부르키나파소 | 32점 |
말리 | 30점 |
튀니지 | 22.5점 |
알제리 | 18점 |
앙골라 | 17점 |
카보베르데 | 16.5점 |
토고 | 14.5점 |
이집트 | 14.5점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3.5점 |
카메룬 | 13.5점 |
콩고 민주 공화국 | 12점 |
에티오피아 | 12점 |
가봉 | 12점 |
니제르 | 11점 |
기니 | 11점 |
세네갈 | 11점 |
수단 | 10.5점 |
3. 2. 예비 예선 참가 팀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2013년, 2012년, 2010년)와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기준으로 부여하였다. 시드 점수가 같을 경우는 최근 대회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고, 이마저도 동률일 경우는 공동 순위로 처리한다.참가 예정인 51개 팀(개최국 모로코 제외) 중 상위 21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팀들은 예비 플레이오프를 거쳐 2차 예선 진출 팀을 가린다. 남수단은 FIFA 및 CAF의 신규 회원국 자격으로 이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지부티와 소말리아는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다. 괄호 안의 숫자는 시드 점수를 의미한다.
말라위는 2014년 3월 11일 자금 부족을 이유로 기권을 선언하였으나, 말라위 축구 협회는 이를 부인했다.[59]
3. 2. 1. 2차 예선 직행
# 리비아 (10.5점)# 적도 기니 (9점)
# 보츠와나 (8점)
# 말라위 (7점)
# 우간다 (6.5점)
# 모잠비크 (6점)
# 베냉 (5.5점)
# 시에라리온 (5점)
# 콩고 공화국 (5점)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4.5점)
# 짐바브웨 (4점)
# 케냐 (4점)
# 라이베리아 (3.5점)
# 감비아 (3.5점)
# 르완다 (3.5점)
# 탄자니아 (3.5점)
# 나미비아 (3점)
# 부룬디 (2점)
# 레소토 (2점)
# 기니비사우 (1.5점)
# 마다가스카르 (1.5점)
# 차드 (1점)
# 상투메 프린시페 (1점)
# 세이셸 (1점)
# 코모로 (0.5점)
# 에스와티니 (0.5점)[59]
3. 2. 2. 1차 예선 참가
1차 예선에는 다음 4개 팀이 참가했다.
1차 예선 대진표 추첨은 2014년 2월 21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진행되었다. 1차 예선에서 모리타니는 모리셔스를 합계 3-0으로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남수단은 에리트레아의 기권으로 부전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59]
4. 경기 일정
라운드 | 경기 | 날짜 |
---|---|---|
예비 라운드 | 1차 예선 1차전 | 2014년 4월 11일 ~ 4월 13일 |
1차 예선 2차전 | 2014년 4월 18일 ~ 4월 20일 | |
2차 예선 1차전 | 2014년 5월 16일 ~ 5월 18일 | |
2차 예선 2차전 | 2014년 5월 30일 ~ 6월 1일 | |
3차 예선 1차전 | 2014년 7월 18일 ~ 7월 20일 | |
3차 예선 2차전 | 2014년 8월 1일 ~ 8월 3일 | |
최종 예선 | 조별 예선 1차전 | 2014년 9월 5일 ~ 9월 6일 |
조별 예선 2차전 | 2014년 9월 10일 | |
조별 예선 3차전 | 2014년 10월 10일 ~ 10월 11일 | |
조별 예선 4차전 | 2014년 10월 15일 | |
조별 예선 5차전 | 2014년 11월 14일 ~ 11월 15일 | |
조별 예선 6차전 | 2014년 11월 19일 |
5. 최종 예선 결과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들 중 가장 성적이 좋은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A | 남아프리카 공화국 | 6 | 3 | 3 | 0 | 9 | 3 | +6 | 12 |
A | 콩고 공화국 | 6 | 3 | 1 | 2 | 6 | 6 | 0 | 10 |
B | 알제리 | 6 | 5 | 0 | 1 | 11 | 4 | +7 | 15 |
B | 말리 | 6 | 3 | 0 | 3 | 8 | 6 | +2 | 9 |
C | 가봉 | 6 | 3 | 3 | 0 | 9 | 4 | +5 | 12 |
C | 부르키나파소 | 6 | 3 | 2 | 1 | 8 | 4 | +4 | 11 |
D | 카메룬 | 6 | 4 | 2 | 0 | 9 | 1 | +8 | 14 |
D | 코트디부아르 | 6 | 3 | 1 | 2 | 13 | 11 | +2 | 10 |
E | 가나 | 6 | 3 | 2 | 1 | 11 | 7 | +4 | 11 |
E | 기니 | 6 | 3 | 1 | 2 | 10 | 8 | +2 | 10 |
F | 카보베르데 | 6 | 4 | 0 | 2 | 9 | 6 | +3 | 12 |
F | 잠비아 | 6 | 3 | 2 | 1 | 6 | 2 | +2 | 11 |
G | 튀니지 | 6 | 4 | 2 | 0 | 6 | 2 | +4 | 14 |
G | 세네갈 | 6 | 4 | 1 | 1 | 8 | 1 | +7 | 13 |
D | 콩고 민주 공화국 | 6 | 3 | 0 | 3 | 10 | 9 | +1 | 9 |
각 조의 1, 2위 팀들과 각 조 3위 팀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콩고 민주 공화국이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20][21][22]
5. 1. A조
5. 2. B조
width="185"| | width="30"| | width="30"| | width="30"| | width="30"| |
---|---|---|---|---|
알제리 | ― | 1-0 | 3-0 | 3-1 |
말리 | 2-0 | ― | 2-0 | 2-3 |
말라위 | 0-2 | 2-0 | ― | 3-2 |
에티오피아 | 1-2 | 0-2 | 0-0 | ― |
5. 3. C조
5. 4. D조
width="185"| | width="30"| | width="30"| | width="30"| | width="30"| |
---|---|---|---|---|
카메룬 | ― | 4-1 | 1-0 | 2-0 |
코트디부아르 | 0-0 | ― | 3-4 | 2-1 |
콩고 민주 공화국 | 0-2 | 1-2 | ― | 3-1 |
시에라리온 | 0-0 | 1-5 | 0-2 | ― |
- 2014년 9월 6일, 콩고민주공화국 룸바시에서 열린 콩고민주공화국과 카메룬의 경기에서 카메룬이 2-0으로 승리했다.[20][21]
- 2014년 9월 6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시에라리온의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2-1로 승리했다.
- 2014년 9월 10일, 시에라리온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으로 인해 콩고민주공화국 룸바시에서 콩고민주공화국과 경기를 가졌고, 콩고민주공화국이 2-0으로 승리했다.[57]
- 2014년 9월 10일, 카메룬 야운데에서 열린 카메룬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에서 카메룬이 4-1로 승리했다.
- 2014년 10월 10일, 시에라리온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유행으로 인해 카메룬 야운데에서 카메룬과 경기를 가졌고,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14년 10월 11일,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에서 열린 콩고민주공화국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2-1로 승리했다.
- 2014년 10월 15일, 카메룬 야운데에서 열린 카메룬과 시에라리온의 경기에서 카메룬이 2-0으로 승리했다.
- 2014년 10월 15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콩고민주공화국의 경기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이 4-3으로 승리했다.
- 2014년 11월 14일, 시에라리온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유행으로 인해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코트디부아르와 경기를 가졌고, 코트디부아르가 5-1로 승리했다.
- 2014년 11월 15일, 카메룬 야운데에서 열린 카메룬과 콩고민주공화국의 경기에서 카메룬이 1-0으로 승리했다.
- 2014년 11월 19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카메룬의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14년 11월 19일,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에서 열린 콩고민주공화국과 시에라리온의 경기에서 콩고민주공화국이 3-1로 승리했다.
5. 5. E조
5. 6. F조
'''카보베르데'''와 '''잠비아'''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
5. 7. G조
width="185" | | width="30" | | width="30" | | width="30" | | width="30" | |
---|---|---|---|---|
style="text-align:right;" | | ― | 0-0 | 2-1 | 2-1 |
style="text-align:right;" | | 1-0 | ― | 2-0 | 3-0 |
style="text-align:right;" | | 0-1 | 0-1 | ― | 2-0 |
style="text-align:right;" | | 0-0 | 0-2 | 0-1 | ― |
G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튀니지가 4승 2무로 1위를 기록하였고, 세네갈이 4승 1무 1패로 2위를 차지하였다. 이집트는 2승 4패, 보츠와나는 1무 5패를 기록했다.
5. 8. 각 조 3위 팀 간의 순위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D | 콩고 민주 공화국 | 6 | 3 | 0 | 3 | 10 | 9 | +1 | 9 |
A | 나이지리아 | 6 | 2 | 2 | 2 | 9 | 7 | +2 | 8 |
E | 우간다 | 6 | 2 | 1 | 3 | 4 | 5 | -1 | 7 |
B | 말라위 | 6 | 2 | 1 | 3 | 5 | 9 | -4 | 7 |
C | 앙골라 | 6 | 1 | 3 | 2 | 5 | 5 | 0 | 6 |
F | 모잠비크 | 6 | 1 | 3 | 2 | 4 | 4 | 0 | 6 |
G | 이집트 | 6 | 2 | 0 | 4 | 5 | 6 | -1 | 6 |
D조 3위 콩고 민주 공화국이 각 조 3위 팀 중 가장 좋은 성적으로 본선에 진출했다.[20][21][22]
6. 본선 진출 팀
통과 방식
통과 날짜
진출 횟수
출전
성적
(대회 시작 시점)